본문 바로가기

게으른 엄마의 행복한 아이교육

아이와 온갖 과자


아이를 키우면서 되도록 과자를 안먹이고 싶었다. 내가 밥을 안먹는 아이였기 때문에 누구보다 군것질이 밥을 잘안먹게 되는 원인이라는 걸 뼈저리게 느끼고 있었다. 어른의 입장에서 과자가 안좋다가 아니라 어린이의 입장에서 느낀 생각이었다. 그런데 그렇게 키우려고 마음먹었는데 너무나도 쉽지 않았다. 어린이집가기 전까지는 남편이라는 복병이 있었고 어린이집을 가니 원장선생님부터 입학날에 내가 보는데 당당하게 아이에게 사탕을 주고 있었다. 너무 빡빡하게 구는 건 아닌가 생각하겠지만 정말 어른들은 과거를 떠올려 봐야한다. 세상에는 여러가지 맛이 있다고 알기 전에 아이가 강력한 단맛을 알게 되었다면 그보다 약한 맛에 흥미가 갈것인지 말이다. 색깔도 알록달록하고 달콤하고 기분이 좋아지는 것들을 평생 안주고 키우자는 게 아니다. 되도록 그 시기를 뒤로 미루고 싶었던 것이다. 스스로 조절이 가능할 때까지 미루고 싶었다. 스마트폰을 되도록 늦게 아이에게 노출시키고 싶은 마음과도 같다. 어차피 다들 먹을테니 완전히 못먹게 할 수는 없어도 그런 맛이 존재한다는 걸 늦게 알려주고 싶은 마음이 드는 부모는 적은걸까?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데 오히려 먹는 것에 크게 신경을 안쓰는 어른들이 많기때문에 생기는 문제가 아닌가라는 생각도 들었다. 그냥 과자는 간식 개념으로 먹을 수도 있지라고 생각하겠지만 몸도 작고 여러가지 영양소를 섭취해야할 아이가 단맛이나 바삭바삭한 기름진것들만으로 허기를 채운다고 생각보면 심각성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우리 아이는 나에게 맛있는 걸 달라고 한다. 그건 절대 방울토마토거나 저녁식사를 말하는 게 아니다. 요구르트나 빵과 같은 달달하고 거의 탄수화물밖에 안들어간 간식류다. 그래서 나는 '밥'을 먹어야 그것들을 먹을 수 있다고 협상을 해야만 한다. 36개월짜리 아이와 매일 딜을 해야하는게 쉽지 않다. 그리고 매일 좌절한다. 

 

저번 주 주말에는 집에서만 있기 힘들어서 아이를 데리고 둘이서 외식을 했다. 점심 식사를 밖에서 한다는 생각에 들뜬 나는 다른 무서운 것들이 밖에 있다는 걸 눈치채지 못했다. 쇼핑몰에 도착해서 식당 앞에 서있으니까 바로 아이는 산타할아버지처럼 생긴 저게 뭐냐고 나에게 물었다. 산타할아버지 모양의 솜사탕이었다. 나는 그걸 어떻게든 아이와 관련없는 것으로 설명하려고 진땀을 뺐다. 아이는 밥을 먹는 내내 그 산타할아버지 타령을 했다. 그래서 나는 밥을 잘 먹고 키가 엄마만큼 커야 먹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런 거짓말이 언제까지 가능할지도 모르겠다. 점점 아이는 커가고 예전에는 설득해서 먹일 수 있었던 게 점점 어려워지는 걸 느낀다. 이젠 초록색이면 바로 경계한다. 어릴 때는 넙죽넙죽 잘 받아먹더니 이제는 초록색이면 맛이 일단 거부감이 생긴다는 걸 본능적으로 학습했나보다. 아이들은 금방 배운다. 그리고 몸으로 습득한다. 음식이 배를 채우는 것만이 아님을 아이를 키우면서 더 절실하게 느낀다. 남편을 보면서도 느낀다. 남편의 식성은 탄수화물과 고기 위주이다. 살은 안찌는 체질이지만 장이 안좋은거같아 걱정이다. 그는 편식하는 어린 아이가 그대로 어른이 되어버린 것 같은 식성이다. 체력도 약하고 야식도 라면이나 냉동만두같은 것만 먹는다. 내가 건강 염려증이어서 이렇게 걱정이 되는 걸까. 아니면 정말 문제가 있는걸까 가끔 혼란스러울 때가 있다. 남편의 식성때문에 화가 나는 이유는 그는 자신의 식성에 대해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게 아이에게 고스란히 전해진다. 그래서 내가 만약 없다면 남편은 아이에게 냉동만두와 짜파게티만 해줄 것이다. 그럼 어린이집에서도 영양이 부실한 급식을 먹는다면 내가 없는 집에서는 아이는 탄수화물과 고기만을 먹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약간의 김치만이 유일한 채소라고 생각하는 남편의 식성을 닮아갈 것이다. 내가 너무 과도한 건강 염려증인걸까 생각이 든다. 하지만 건강에 대해 부모 중에 한 쪽만 신경쓴다는 건 상당히 피곤한 일이다. 나도 아이들을 남편에게 맡기고 혼자만의 시간을 보내고 싶은데 그러려면 식사가 해결이 되어야 한다. 

 

하, 방금 남편이 앞니가 흔들린다고 했다. 삼십대가 치주염으로 잇몸이 안좋아지는 경우가 얼마나 있을까. 최악의 경우 임플란트를 해야할지도 모른다고 했다. 삼십대가 임플란트를 한다고? 이 모든 게 다 건강에 대한 상식부족이고 시어머니 탓인 것만 같아 짜증이 난다. 아이가 좋아한다는 이유로 아이가 좋아하는 반찬만 해주는 게 그게 무슨 어른인가. 영양 불균형을 막아주지는 못할 망정 그걸 더 심화시킨 게 부모라면 성인이 된 다음의 아이 건강에 대한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 것일까. 잇몸이 안좋아졌으니 치아보험을 드는 것부터 생각하는 게 합리적인 어른이라고 할 수 있을까. 처음부터 원인을 생각하고 안좋은 습관들은 없애려고 노력해야한다고 생각하는데 그걸 다 큰 어른에게 바란다는 건 너무 어려운걸까. 아이의 과자에 대해 걱정되어서 글을 쓰다가 남편의 건강으로 넘어와버렸다. 속이 터진다. 내 할 일도 산더미같고 아이 건강도 신경써야하는데 다 큰 성인이 한 명이 추가가 되었다. 그 관리를 내가 신경써야 된다는 게 화가 난다. 운동에 대한 필요성도 못느끼고 영양 균형에 대해서도 생각안하고 야식만 많이 먹는 남편을 보면서 나는 아이의 미래를 걱정하고 내 미래를 걱정한다. 아이는 영양 불균형이 어떤 결과를 야기할 지 모르니 이해하지만 어른은 아니다. 어른은 알면서도 습관이 되어서 안하는 거다. 이런 어른들이 아이의 건강에 대해 책임을 질 수 있을까. 어릴 때부터 기본적인 건강 상식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든다. 양치질은 해야한다고 어린이집에서부터 알려주면서 이런 상식이 그냥 고리타분한 걸로 치부되는게 걱정된다. 아이를 달래기 위해 과자나 사탕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안일한 생각부터 다시 고려해봐야 한다. 사람의 몸에 들어가는 게 먹는 게 다인데 그걸 신경안쓰고 몸이 안좋아지면 병원부터 가고 건강보조식품이나 생각한다는게 기가 막히다. 진짜 화가나고 막막하다. 돈이 크게 깨지는 게 문제가 아니라 이 모든 걸 어디서부터 해결해야 할지 막막하다. 게으르지만 행복하게 아이교육을 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이 카테고리를 만들었지만 막막해졌다. 아이때문이 아니라 어른부터 제대로 바로 서야하는데 그게 안되고 있으니 힘에 부친다. 내가 이 집에서 유일하게 건강에 신경쓰는 사람이니 내가 해결해야 될 것 같지만 나도 힘들다. 내가 알뜰하게 돈아끼면 뭐하나. 저렇게 관리 안하다가 돈깨지면 그 아낀 돈이 다 날라가버린다. 허탈하고 속상하다. 슬프기까지 하다. 남편의 문제는 이미 일어나 버린 일이니 어찌할 수가 없다고 생각하고 그 다음에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생각해야 하겠지. 근데 머리가 잘 돌아가지 않는다. 너무 패닉이라 그런가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