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게으른 엄마의 행복한 아이교육

받침을 틀리고 책읽기 싫어하는 아이

어제 전화가 왔다. 맞벌이 가정의 초등학교 2학년 여자아이를 돌보시는 할머니께서 손녀가 걱정이 되어 나에게 전화를 주셨다.

지금 20분씩 문제풀이하는 학습지같은걸 6개월째 시키고 있는데 처음보다는 많이 나아진 것 같은데 어떻게 하면 되느냐는 거였다. 아이는 책읽는 걸 별로 안좋아하고 받침을 자꾸 틀리는게 걱정된다고 하셨다.

어른도 자꾸 틀린 걸 지적하면 싫어하고 결국 안하게 된다. 예를 들어보자. 
남편이 설거지를 한다. 근데 옆에서 지켜보니 물도 너무 세게 틀어놓는 것 같고 뽀득뽀득하게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아내인 나는 이것저것 '남편을 위해' 말을 해주기 시작한다. 그랬더니 남편은 그 말을 듣고 고맙다고 고치기는 커녕 시무룩해 하거나 짜증을 내더니 '그럼 당신이 해'라며 설거지를 멈춘다.




아이도 마찬가지다. 잘하는 것도 하다보면 실수할 때가 있는데 원래도 잘 못했던 걸 자꾸 지적하면 흥미마저 없어져 버린다. 너무나도 당연한 얘기를 우리는 잊고 있을 때가 많다. 왜냐하면 나는 '어른'이고 이 아이는 '아이'이기 때문에 내가 어른으로서 자꾸 알려주고 잘못된 걸 바로잡아줘야한다는 강박관념같은데 무의식중에 있는것이다.

아이가 받침을 자주 틀린다면 그때는 이미 글쓰기에 대한 자신감이 바닥에 있을 것이다. 학습지도 억지로 하는 것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 그 아이와 마주쳤을 때 어떻게 해야할까.

일단 그 아이가 평소에 좋아하는 게 뭔지 물어본다.
그 주제들을 가지고 이야기를 펼쳐나간다.
싫은 건 어떤 것들인지 물어본다. 왜 싫은지 물어본다.

받침을 안틀려야 되는 이유보다 글자는 '약속'이라는 걸 알려준다.
예를 들어 나라별로 손가락 제스쳐가 다른 뜻을 의미하듯이 받침이 틀리면 다른 뜻으로 오해할 수도있고 잘못 전달될 수 있다고 얘기해 준다.

자꾸 틀리는 받침에 대해서는 지적하고 고치기 보다 왜 헷갈리는지 뭐가 답답한지 이야기를 많이 들어준다. 그리고 평소 좋아하는 것과 연관시켜서 자주 틀리는 받침을 잘 기억할 수 있게 예시를 만들어본다.

자신이 좋아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면 흥미가 생기는 건 당연한거다. 자주 틀리는 것에 연연하다보면 마음이 조급해지기 마련이니 길게보고 아이가 즐길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게 우선이다. 그렇게 하면 하지말라고 해도 자기가 알고싶어하지 않을까.